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제주도의 신재생에너지 전원이 제주도 발전용량의 약 20%까지 증가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하기 위한 전력설비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가 접속대기 중에 있어, 신재생에너지의 접속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설비 인프라의 증설 및 신설이 요구되지만, 막대한 건설비용과 오랜 건설기간이 소요되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력설비를 추가로 증설하거나 신설하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연계지점이나 수용가 말단 등에 ESS를 운용하여, 전력계통을 관리하는 가상적인 전력선로 운용기술인 VPL(virtual power line) 운용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도입하기 위한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VPL의 경제성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 경제성평가 모델링은 크게 비용요소와 편익요소로 구성되며, 비용요소는 설치비용과 운용비용, 편익요소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 개선과 전력설비 투자지연에 의한 편익으로 구성된다. 이를 바탕으로, 규모(소규모, 중규모, 대규모)별 VPL의 도입 모델에 대하여, 현재가치 환산법을 이용하여 경제성평가를 수행한 결과, VPL의 적정한 용량을 선정하면 기존의 인프라 투자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Recently,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Jeju Island has increased to approximately 20% of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However, power curtailment of renewable energy sources frequently occurs. Many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also waiting to be connected due to the lack of power system infrastructure. To solve these problems, an investment in power system infrastructure is required due to the enormous costs and long period of construction.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operation method for VPL, which is virtual power line operation technology to manage the power system. This is done by operating an ESS installed at the coupling point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and the last point of the primary feeder without expanding the power system infrastructure. We also propose an economic evaluation method to perform a feasibility study of a VPL. The economic evaluation method was modeled with cost and benefit factors. The cost factors consisted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The benefit factors were composed of improvement of pricing of power curtailment and the benefit of deferred investment in power system infrastructure. From the simulation results for VPL models at the small, medium, and large scal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er capacity of a VPL can be more economical than the investment cost of the expansion of power system infrastructure in the conventional method.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 개선을 위한 VPL의 도입 모델
3. 출력제한 개선을 위한 VPL의 경제성평가 모델링
4.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